[문제]
[풀이]
> ls -al 명령어를 통해 data.txt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.
> file 명령어를 통해 data.txt 파일이 text 파일임을 확인할 수 있다.
> cat 명령어를 통해 data.txt 에 rot13된 문자열이 들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.
> tr 명령어를 통해 문자열을 치환한 결과 패스워드를 획득할 수 있었다.
> 대.소문자 모두 13만큼 이동한 위치의 알파벳으로 치환되므로 범위 지정 시, 대.소문자 모두 기입해야 한다.
> (A부터 Z까지)를 (N부터 Z, A부터 M까지)로 치환, (a부터 z까지)를 (n부터 z, a부터 m까지)로 치환한다.
[핵심]
1. tr(translate) 명령어
> 특정 문자를 치환하거나 삭제하는 명령어
> tr [option] 문자열1 [문자열2] 형태로 사용
> 문자열 범위 지정가능 '[]' '[]'
예) 소문자를 대문자로 변경
tr a-z A-Z
tr '[:lower:]' '[:upper:]'
tr '[a-z]' '[A-Z]'
각 옵션 별 예시는 출처 링크 참고.
2. ROT-13 (=rot13)
> 카이사르 암호의 일종으로 알파벳을 13글자씩 밀어서 만듦(치환) -> 키 값이 13
> 온라인 게시판에서 퍼즐의 정답이나 등 미리보기를 원치 않는 내용을 암호화하는데 주로 이용
> 암,복호화가 같은 유일한 방법
- 알파벳이 26글자이기 때문에 ROT13 암호화를 2번 적용할 경우 원래대로 돌아옴(평문)
> tr 'A-Za-z' 'N-ZA-Mn-za-m' 등의 형태로 사용
*카이사르 암호(Caesar Cipher, 시저 암호)
> 암호학에서 다루는 간단한 치환 암호
> 암호화하고자 하는 내용을 알파벳 별로 일정한 거리만큼 밀어서 다른 알파벳으로 치환하는 방식
[출처]
linuxstory1.tistory.com/entry/%EB%AC%B8%EC%9E%90-%EB%B3%80%ED%99%98%EC%82%AD%EC%A0%9Ctr
문자 변환/삭제(tr)
linuxstory1.tistory.com
ROT13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 ROT13은 영어 알파벳을 13글자씩 밀어내는 방식으로 문자들을 치환한다. 예를 들어 'HELLO'는 'URYYB'로 치환된다. ROT13(Rotate by 13)은 단순한 카이사르 암호의 일종으
ko.wikipedia.org
'Wargame > band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andit Level 13 -> Level 14 (0) | 2021.05.04 |
---|---|
Bandit Level 12 -> Level 13 (0) | 2021.04.06 |
Bandit Level 10 -> Level 11 (0) | 2021.04.04 |
Bandit Level 9 -> Level 10 (0) | 2021.04.04 |
Bandit Level 8 -> Level 9 (0) | 2021.04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