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문제]
[풀이]
> telnet 명령으로 localhost 를 30000 번 포트로 접속하여
bandit14의 패스워드를 제출하면 bandit15의 패스워드가 출력된다.
> localhost의 ip 주소는 127.0.0.1이므로 localhost 대신 ip주소로 입력해도 동일한 결과가 출력된다.
> nc 명령어로도 동일하게 패스워드를 획득할 수 있다.
[핵심]
telnet
> 원격 접속 명령어,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
> 인터넷이나 로컬 영역 네트워크 연결에 쓰이는 TCP/IP 기반 네트워크 프로토콜
> 스위치에 연결된 수백대의 컴퓨터 ip, 맥 주소 관리 용이
> 보안성 미보장 (ssh 와의 차이)
> 텔넷 프로토콜은 가상 텔레타이프의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, 7비트 ASCII 문자 집합을 이용한다. 사용자 텔넷의 주 기능은 사용자가 가상 텔레타이프에 모든 키를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.
> 사용형태
telnet [IP 또는 도메인] [포트]
> default port -> tcp 23번 , 보안성 향상을 위해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음.
nc 명령어 (netcat)
> TCP나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연결에서 데이터를 읽고 쓰는 간단한 유틸리티 프로그램
> telnet 을 대신하여 사용가능
> UNIX의 cat과 비슷한 사용법, network connection에 읽거나 씀.
> 스크립트와 병용해 network에 대한 debugging, testing tool로써 매우 편리, but 해킹 이용
>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 간의 포트 오픈을 확인할 수 있고, listen 모드로 자신이 서버가 되는 기능 제공함.
> 원하는 거의 모든 종류의 접속형태를 만들어 낼 수 있고 흥미로운 몇 가지 내장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다기능의 네크워크 문제해결/조사시 유용하게 사용 가능
[출처]
리눅스(Linux) Netcat(nc) 명령어
nc(netcat) 넷캣(Netcat)은 TCP나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연결에서 데이터를 읽고 쓰는 간단한 유틸리티 프로그램이다. 일반적으로는 UNIX의 cat과 비슷한 사용법을 가지고 있지만 cat이 파일
websecurity.tistory.com
[Linux] nc(Netcat)를 활용한 서버 포트 오픈 확인
넷켓(nc : Netcat)은 TCP/UDP 프로토콜로 연결된 네크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는 간단한...
blog.naver.com
ko.wikipedia.org/wiki/%ED%85%94%EB%84%B7
텔넷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 텔넷(TELNET)은 인터넷이나 로컬 영역 네트워크 연결에 쓰이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. RFC15를 시작으로 1969년에 개발되었으며 최초의 인터넷 표준들 가운데 하
ko.wikipedia.org
'Wargame > band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andit level 16 -> level 17 (1) | 2021.07.03 |
---|---|
Bandit level 15 -> level 16 (0) | 2021.05.05 |
Bandit Level 13 -> Level 14 (0) | 2021.05.04 |
Bandit Level 12 -> Level 13 (0) | 2021.04.06 |
Bandit Level 11 -> Level 12 (0) | 2021.04.04 |